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드림 인터뷰가 제공하는 컨설팅 회사 준비를 위한 기본 Tip
 
 
 

컨설팅 회사는 일반 대기업이랑 준비 방법이 살짝 다르다. 그 준비 방법 역시 그렇게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인터넷에 떠도는 정보를 정리해서 실제 컨설팅 회사에 다니는 컨설턴트들에게 확인을 요청하면 전혀 안 맞는 얘기라고 할 때가 많다.

드림 인터뷰가 박민수 컨설턴트 인터뷰에서 수집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른 인터뷰를 추가해 일반 대기업과 다른 컨설팅만의 독특한 인재상과 리쿠르팅 프로세스를 정리해 보았다.

1. 어떤 인재를 원하는가?

- 박민수씨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여러 컨설턴트들과의 전화 인터뷰 내용을 더해 드림 인터뷰에서 자체적으로 컨설팅 회사에서 어떤 인재를 원하는 지 정리해봤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일반론”이라는 점에 주의하자. 인사 컨설팅은 여기에 인사에 대한 관심과 관련 경험이 추가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1) 인재상

논리적인 사람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사람 (업계 용어로 Presence가 있는 사람)

리더십이 있는 사람.

- 인재상이라는 말은 이 인재상을 증명할 수 있는 증거, 즉 경력이 필요하다는 말이기도 하다.


2) 이상적인 스펙 형태

학점: 3.75 / 4.5 이상

영어: 외국인과 심각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의사소통 가능. 토플 Speaking 27점 이상

     - 글로벌이 아닐 경우 영어 Speaking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인턴: 컨설팅 RA 경력

공모전: 논리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공모전 수상.

리더십 경험: 동아리나 학회에서 리더 역할 수행

- 이런 조건을 다 갖추어도 서류에서 떨어지는 사람이 많으며, 이런 조건에 부합하지 못해도 탁월한 논리력이나 자신만의 Edge로 합격하는 사람도 많다. 너무 이 조건에 얽매이지 말고 도전해보자.

- “스펙” 보다는 “인재상”에 부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전화 인터뷰에 응해 준 컨설턴트들은 입을 모아 말했다. 두루뭉실한 조건이지만 인재상에 부합되도록 노력해보자. 


2. 어떻게 준비했는가?

- 박민수씨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여러 컨설턴트들과의 전화 인터뷰 내용을 더해 드림 인터뷰에서 자체적으로 컨설팅 회사에 간 사람이 어떤 준비를 했는지 정리해 보았다. 역시 어디까지나 “일반론”이라는 점에 주의하자.


1)수업

경영 학과 수업: 대부분의 경영학과 출신 컨설턴트들이 “경영 전략” 수업과 관련 과목을 반드시 들으라고 추천해주었다. 그 외는 기초적인 과목들을 추천해주었다. 이는 비 경영학과 출신도 마찬가지였다. 아래는 추천 과목들.

경영 학과 - 경영 전략

경영 학과 – 마케팅 원론

경영 학과 – 재무 관리

경영 학과 – 회계학 원리


2)책

공통적으로 가장 추천이 많이 된 책은 아래와 같다. 논리나 컨설팅과 같은 책을 읽기보다는 신문을 보면서 각각의 사안에 대해 “왜?” 라는 질문을 던지라는 의견도 있었다.

바바라 민토 – 논리의 기술

맥킨지 식 사고와 기술 


3)공모전

공모전 할 필요 없다는 극단적 의견도 다수 있었으며, 1-2개의 좋은 공모전에서 1등이나 2등을 하라는 의견이 많았다. 아래는 추천 공모전이나 인터뷰에 응한 컨설턴트들이 학부 때 수상했던 공모전.

현대 자동차 마케팅 공모전

HCG Case Competition

한국경영학회 주최 - 경영 사례 연구 대회


4) Work Experience

컨설팅 회사 RA는 경력을 위해서가 아니라 컨설팅의 살인적인 Life를 경험해보기 위해서 반드시 하라는 답변이 다수를 차지. 그 외의 인턴은 어디에서 했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했느냐가 중요하다는 답변이 나왔음. 


5)자격증

- 자격증은 전혀 고려요소가 안 된다는 답변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재무나 회계 관련 자격증이 좋을 것이라는 답변이 극 소수 존재 했다. 


3. Case Interview

- Case 인터뷰란, 어떤 상황을 가정하고, 그 상황에서 어떤 전략을 제시해야 되는지에 대해서 지원자에게 물어보는 것을 말한다. 컨설팅 회사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 이런 Case 인터뷰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 상황을 주고 인터뷰이가 인터뷰어에게 계속 질문을 해가면서 추가 정보를 얻어서 풀어나가는 답이 있는 질문이 있고, 추가 정보 없이 가정만으로 인터뷰이가 풀어야 하는 문제들이 있다.


1) 질문 예시

- 국내 엘리베이터는 몇 개나 있을까요? (추가 정보 없는 경우)

- 당신은 일식 집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요리사를 바꾼 후에 이익이 계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밝혀 주세요. (추가 정보 있는 경우)


2) 해답 예시 (추가 정보 없는 경우)

Q 국내에 엘리베이터는 몇 개나 있을까요?

A 엘리베이터 수를 추산하는 접근 방법으로, 우선 대한민국의 인구수를 가정하고, 그 가정에서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만한 건물 수를 추산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겠습니다.

우선, 대한 민국의 인구 수는 5천만으로 추산하겠습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경우 5층 건물 이상에 설치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두 가지 가정을 바탕으로 한국의 5천만 인구가 이용하는 5층 이상의 상업용 건물과 주거용 건물을 추산하겠습니다.

우선 주거용 건물의 경우, 5층 건물 이하에 사는 비율을 빼는 것으로 추산하겠습니다. 한국이 산악 지형이고 대부분의 인구가 대도시에 밀집한 것을 감안 할 때 5층 건물 이하에 사는 인구는 20% 미만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랬을 때, 4000만 인구가 5층 이상의 건물에 살고, 이를 4인 가족 기준으로 나눴을 때, 1000만 가구가 5층 건물 이상에 산다고 판단됩니다.

5층 이상의 건물에 평균 20가구가 산다고 가정하면 총 50만 개의 주거용 건물이 5층 이상 건물로 판단됩니다. 다음으로 상업용 건물입니다. 상업용 건물에 근무하는 사람, 즉 노동인구는 전체 5000만 중에서 노약자를 제외한 실질 노동인구라고 판단됩니다.

그 인구를 3000만으로 가정합니다. 상업용 건물의 경우, 수용인구가 주거용보다 훨씬 크고, 더 높은 경우가 많으므로, 한 건물당 300명을 수용한다고 가정합니다. 그럴 경우 총 10만의 상업용 건물이 나옵니다. 주거용 건물의 경우 개당 1개의 엘리베이터가, 상업용 건물의 경우 개당 2개의 엘리베이터를 가정하면, 총 70만 개의 엘리베이터가 국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됩니다. 


3) 해답 예시 (추가 정보 있는 경우)

Q 저는 일식 집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요리사를 바꾼 후에 이익이 계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밝혀 주세요.

A 이익은 매출–비용이므로 매출과 비용 부분을 각각 분석하겠습니다. 우선 매출 부분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매출은 고객 수 * 일인당 매출으로 구성될 것입니다. 혹시 고객 수가 줄었습니까?

Q 고객 수는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A 그럼 1인당 매출이 감소하였습니까?

Q 1인당 매출 역시 감소하지 않은 거 같습니다.

A 그러 비용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문제를 접근하겠습니다. 비용은 인건비와 재료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맞나요?

Q 네 그렇습니다.

A 요리사를 바꾼 후에 인건비가 올랐나요?

Q 인건비는 그대로 입니다.

A 그럼 재료 비의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일식 집의 특성상 재료비의 경우 재료 원가와 재고 비용, 즉 다 사용되지 않은 재료를 폐기 처분 해서 생기는 비용이 포함될 것입니다. 재료 원가가 올랐나요?

Q 아닙니다.

A 그러면 요리사가 시장에 가는 Term이 줄거나 또는 갈 때마다 이전보다 많은 재료를 사지 않나요?

Q 그렇습니다.

A 그 부분이 문제인 거 같습니다. 다른 상황은 변하지 않지만, 요리사가 수요 예측을 하지 제대로 하지 못해서 많은 식 재료를 폐기 처분하게 되면서 비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이익이 감소한 거 같습니다. 

- 이런 케이스 인터뷰에 대해서는 볼트사에서 나온 문제집이 있다. 참고하자.


 
 


출처 : 20대 꿈을 말하다! http://www.dreaminterview.co.kr

'경영 컨설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설턴트가 읽어야할 책쵁쵁.  (0) 2010.03.26
인사 컨설팅의 세계.  (0) 2010.03.04
H.R 컨설턴트의 조건  (1) 2010.03.04
경영 컨설턴트  (0) 2010.02.17
:
Posted by 맥키니어